본문 바로가기
영화 리뷰

기묘한 이야기(Stranger Things)시즌 4, SF, 스릴러, 공포, 호러, 미스터리

by 모락모~락 2025. 7. 20.
반응형

반응형

1. '기묘한 이야기 시즌 4' 줄거리

호킨스에서는 고등학생들이 기괴한 방식으로 죽는 사건이 연쇄적으로 발생합니다. 피해자들은 모두 정신적인 트라우마를 겪고 있었으며, 환각을 본 뒤 몸이 뒤틀린 채로 죽습니다. 이 끔찍한 사건의 배후에는 '벡나'라는 강력한 초자연적 존재가 있었으며, 그는 마치 프레디 크루거처럼 사람들의 내면 깊은 공포를 파고들어 정신을 조종하고, 결국 육체까지 파괴합니다. 맥스는 사망한 친구 빌리의 죽음 이후 깊은 죄책감에 시달리며 벡나의 타깃이 됩니다. 그러나 친구들의 도움으로 케이트 부시의 노래 〈Running Up That Hill〉을 통해 벡나의 세계에서 탈출합니다. 이는 벡나의 공격에서 살아남기 위한 단서가 됩니다.

 

일레븐은 캘리포니아에서 조이스, 윌, 조나단과 함께 조용히 살고 있지만, 능력을 잃은 채로 또래들 사이에서 따돌림을 당합니다. 마이크가 방문했을 때도 자신의 약함을 숨기고 싶어 합니다. 그러던 중 정부 기관에서 일했던 오웬 박사와 브레너 박사에게 다시 끌려가 ‘닌자 프로젝트’ 시설에 입소하게 되며, 과거의 기억과 능력을 되찾기 위한 훈련을 받습니다. 그 과정에서 일레븐은 과거의 진실을 떠올립니다. 바로 어린 시절 시설에서 벌어진 대규모 학살 사건의 진범이 ‘원’이라 불리는 실험체였고, 일레븐이 그와 싸운 끝에 그를 다른 차원(업사이드 다운)으로 추방했다는 것입니다. 이 ‘원’이 바로 지금 호킨스를 위협하는 ‘벡나’였던 겁니다.

 

사망한 줄 알았던 호퍼는 사실 러시아 감옥에 갇혀 있었습니다. 그는 미국과 소련 간의 초차원 실험 전쟁의 희생양이 되었고, 그곳에서 데모고르곤 실험체와 싸우며 생존합니다. 조이스와 머레이는 호퍼의 메시지를 받고, 러시아로 건너가 목숨을 건 구출 작전을 펼칩니다. 이들은 수많은 장애물을 넘어 결국 호퍼를 구출해냅니다.

 

주인공들은 벡나가 업사이드 다운을 조종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가 호킨스를 네 조각으로 나누려는 계획을 세웠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 벡나는 총 네 명의 희생자를 만들며 균열을 열고, 현실 세계와 업사이드 다운을 연결시키려 합니다. 결국 마지막 전투에서 주인공들은 호킨스로 돌아가 벡나를 공격합니다. 에디는 친구들을 위해 기타로 메탈리카의 ‘Master of Puppets’를 연주해 주의를 끌고, 끝내 목숨을 잃습니다. 맥스는 벡나의 마지막 희생자가 되어 혼수상태에 빠지고, 네 번째 균열이 열리며 호킨스에 거대한 틈이 생기고 마을은 붕괴됩니다.

 

2. 시대적 배경

〈기묘한 이야기〉 시즌 4의 시대적 배경은 1986년 미국, 냉전 말기입니다. 이 시기는 정치·사회·문화적으로 전환점이 되는 시기로, 시즌의 전개와 분위기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은 소련과의 냉전 속에서 군사 및 과학 분야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이와 맞물려 극 중에서도 소련의 초자연적 무기 실험과 미국 정부의 비밀 프로젝트(예: 닌자 프로젝트)가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실제 80년대 미국에는 '사탄 패닉(Satanic Panic)'이라는 사회적 히스테리아가 존재했습니다. 던전 앤 드래곤(D&D) 게임이 악마 숭배와 연결된다는 오해가 퍼졌고, 이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이 비난받았습니다.

 

1986년은 MTV가 한창 인기를 끌던 시기였고, 팝과 록 음악이 대중문화를 장악했습니다. 시즌 4에서는 케이트 부시의 〈Running Up That Hill〉, 메탈리카의 〈Master of Puppets〉 같은 곡이 극 중 인물들과 깊이 연결되어 감정적 도구로 활용됩니다. 시즌 4는 명백히 80년대 호러 영화, 특히 프레디 크루거(〈나이트메어〉) 시리즈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벡나가 사람들의 정신을 파고들어 환상을 보게 하고 죽음으로 이끄는 방식은 당시 슬래셔와 초자연 공포 장르의 전형을 차용한 것입니다. 또한, 현실과 악몽이 겹치는 연출은 스티븐 킹 스타일의 심리 호러에도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80년대는 전통적 가족 구조가 해체되고, 이혼이나 편부모 가정이 늘어났던 시기입니다. 극 중에서도 조이스는 아버지 없이 두 아들을 키우고 있고, 캘리포니아로 이주한 윌과 조나단은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휴대전화나 인터넷이 없던 시기라, 인물들이 정보를 찾고 연락을 주고받는 데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 자주 등장합니다. 테이프, 워크맨, 유선 전화, 디지털 시계, VHS 플레이어 등이 일상에 쓰입니다. D&D, 아케이드 게임, 만화책, 록 음악 등 청소년 문화가 폭넓게 퍼지던 시기이며, 이는 주인공들의 성격과 세계관에도 깊이 반영됩니다. 그들은 단순한 어린이가 아니라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하위문화 속에 살아가는 인물로 묘사됩니다.

 

3. 총평

시즌 4는 시리즈 전체에서 가장 어둡고 서사적으로 복잡하며 감정적으로 강도 높은 시즌입니다. 이전 시즌들이 어린이 모험극과 공포가 혼합된 느낌이었다면, 이번 시즌은 명백하게 성장한 주인공들의 정체성과 트라우마, 죽음의 공포, 초자연적 악의 근원을 정면으로 다루며 시리즈의 터닝포인트 역할을 합니다.


이야기의 무대가 호킨스를 넘어서 캘리포니아, 러시아, 업사이드 다운까지 퍼지며, 세계관이 대폭 확장됩니다. 각 장소의 에피소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큰 전쟁의 퍼즐처럼 작용합니다. 시즌 4는 진정한 호러 드라마로 전환된 시즌입니다. 벡나의 등장은 단순한 괴수 이상의 심리적 공포를 안기며, 시청자에게 프레디 크루거나 헬레이저 같은 전통 호러 캐릭터의 공포를 연상케 합니다. 맥스는 빌리의 죽음 이후 죄책감과 우울을 겪고 있으며, 그녀의 내면이 시즌의 정서적 핵심이 됩니다. 일레븐은 무력감과 정체성 혼란 속에서 능력을 되찾고 스스로를 직면합니다. 에디 먼슨은 새롭게 등장한 인물이지만, 시즌 4의 상징처럼 활약하며 감동적인 서사를 남깁니다.

 

케이트 부시의 〈Running Up That Hill〉, 메탈리카의 〈Master of Puppets〉 등 음악이 단순한 배경음이 아니라 서사의 감정과 생존을 연결하는 장치로 활용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에피소드 당 러닝타임이 매우 길고, 일부 전개는 느리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파트 2에서는 일부 전투 장면이 과하게 장황하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또한 서로 다른 지역에서 벌어지는 이야기가 병렬적으로 전개되며, 호킨스와 러시아, 캘리포니아의 연결이 느슨하게 느껴지는 부분도 있습니다. 모든 캐릭터가 한 장면에서 만나지 않는 구성이 아쉬운 시청자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기묘한 이야기 시즌 4'는 시리즈의 정점을 향해 나아가는 어두운 성숙기이며, 공포·서사·감정의 완성도가 가장 높은 시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