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리뷰

기묘한 이야기(Stranger Things)시즌 1, SF, 스릴러, 공포, 호러, 미스터리

by 모락모~락 2025. 7. 20.
반응형

반응형

1. '기묘한 이야기 시즌 1' 줄거리

1983년 가을, 호킨스의 평범한 중학생 윌 바이어스가 자전거를 타고 집으로 가던 도중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가족과 친구들은 충격에 빠지고, 지역 경찰서장 짐 호퍼는 수사를 시작합니다. 윌의 어머니 조이스 바이어스는 아들의 실종에 대해 이상한 기운을 감지하고, 집 안의 전등이 깜빡이거나 전화기가 이상하게 작동하는 등 초자연적인 현상을 목격하며 윌이 살아있다고 믿습니다.

 

한편 윌의 친구들 마이크, 더스틴, 루카스는 직접 윌을 찾아 나서다가 숲에서 머리가 삭발된 괴상한 소녀를 발견합니다. 그녀는 이름도 밝히지 않지만 팔뚝에 ‘011’이라는 문신이 있고, 이후 아이들은 그녀를 일레븐(일)이라 부르게 됩니. 일은 말을 거의 하지 않지만, 강력한 초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정부의 비밀 실험실에서 탈출한 인물입니다.

 

일레븐은 윌이 단순히 사라진 것이 아니라, '뒤집힌 세계(Upside Down)'라는 또 다른 차원에 갇혀 있다는 사실을 전합니다. 그 세계는 현실과 평행하지만 어둡고 기괴하며, 괴생명체 데모고르곤이 존재합니다. 윌은 그 괴물에게 쫓기며 뒤집힌 세계에서 생존 중입니다. 호퍼 서장은 조사 끝에 호킨스 국립연구소에서 비밀리에 초능력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그 실험이 차원 간의 문을 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는 조이스와 함께 연구소에 잠입해 윌을 구하려 시도하고 마이크와 친구들 역시 일레븐의 힘을 빌려 윌의 위치를 추적하며 괴물과 맞서 싸웁니다.

 

결국 조이스와 호퍼는 뒤집힌 세계에서 간신히 윌을 구출하는 데 성공하지만 일레븐은 데모고르곤과 맞서 싸운 끝에 사라지며, 그녀가 생존했는지는 불분명합니다. 윌은 집으로 돌아오지만, 마지막 장면에서는 그가 여전히 뒤집힌 세계의 영향을 받고 있는 듯한 기묘한 증상을 보입니다.

시즌 1의 핵심 인물
  • 일레븐(일): 정부 기관에서 실험을 당한 초능력 소녀. 탈출 후 윌의 친구들과 함께 지내며 가족 같은 유대를 형성.
  • 조이스 바이어스: 실종된 아들을 찾기 위해 미친 사람 취급을 받으면서도 진실을 추적.
  • 짐 호퍼: 경찰서장으로, 과거의 상실을 극복하며 조이스와 함께 윌을 구출하는 데 헌신.
  • 마이크, 더스틴, 루카스: 윌의 친구들이자 일레븐의 가장 큰 지원군. 순수한 우정과 용기를 보여준다.
  • 데모고르곤: 뒤집힌 세계에서 넘어온 괴물, 사람들을 납치해 그곳으로 끌고 간다.

 

2. 시대적 배경

'기묘한 이야기 시즌 1'의 시대적 배경은 1983년 미국 인디애나주의 가상의 마을 ‘호킨스(Hawkins)’입니다. 이 시기는 미국 사회 전반에 냉전의 긴장감,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한 불안감, 정부기관에 대한 불신, 그리고 청소년 문화의 급속한 변화가 뒤섞여 있던 때였습니다. 이 배경은 작품의 세계관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당시 미국은 소련과의 첩보 경쟁 속에서 심리전, 초능력 실험, 의식 조작 등 다양한 비밀 프로그램을 운영했으며, 이와 관련된 불신과 음모론이 사회 전반에 퍼져 있었습니다. 작품 속 호킨스 국립연구소는 실제 존재했던 CIA의 ‘MK 울트라 프로젝트(MK-ULTRA)’를 모티브로 삼아, 초능력과 의식 제어 실험을 암암리에 수행하는 정부기관으로 묘사됩니다.

 

1980년대는 Dungeons & Dragons(던전 앤 드래곤) 같은 테이블탑 RPG 게임, 스타워즈, 이터(E.T.), 고스트버스터즈, 스티븐 킹의 소설들 등 SF와 판타지 장르가 대중적으로 유행하던 시기입니다. 극 중 아이들이 D&D 게임을 즐기고, 괴물의 이름을 D&D 캐릭터인 ‘데모고르곤’이라 붙이는 설정은 이 문화적 흐름을 반영합니다. 스마트폰도 인터넷도 없던 시절. 아이들은 워키토키, 유선 전화, 라디오, VHS, CRT TV를 이용하고, 조이스는 전구 깜빡임과 전화기 잡음으로 윌의 존재를 감지합니다. 이 기술적 한계는 오히려 미스터리한 분위기를 배가시키고, 현대의 시청자에게는 낯선 긴장감을 제공합니다.

 

전형적인 핵가족 중심의 중산층 마을, 부모가 모두 직장에 나가 있고 아이들은 친구들과 노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던 문화적 배경도 그대로 반영됩니다. 학교, 경찰서, 교외 주택 단지 같은 공간들이 80년대 미국의 전형적인 일상으로 묘사되며, 이런 평범함 속에 기괴한 사건이 스며드는 방식은 공포감과 이질감을 더욱 강조합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소들은 '기묘한 이야기'가 단순한 괴물 이야기에서 벗어나, 향수와 불안을 동시에 자극하는 독특한 세계관을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3. 총평

'기묘한 이야기 시즌 1'은 레트로 감성, 공포와 미스터리, 그리고 소년들의 우정과 성장 서사를 훌륭하게 결합한 작품입니다. 1980년대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면서도, 긴장감 넘치는 전개와 섬세한 감정선을 동시에 살려냈다는 점에서 큰 호평을 받았습니다. SF, 스릴러, 호러, 드라마, 성장물까지 다양한 장르를 균형감 있게 섞어내며 대중성과 완성도를 동시에 잡았습니다. 괴물의 위협이라는 외적 갈등과, 실종된 친구를 향한 우정, 가족 간의 애정 등 내적 드라마가 잘 어우러집니다.

 

일레븐을 비롯한 소년들, 조이스, 호퍼까지 각각의 캐릭터들이 선명하고 입체적입니다. 특히 아역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력은 이야기의 설득력을 높였고, 일레븐이라는 캐릭터는 시즌 전체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음악, 촬영 기법, 소품, 대사까지 세심하게 재현된 80년대 분위기는 해당 시대를 경험한 시청자에게는 향수를, 젊은 세대에게는 신선한 문화적 체험을 선사합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실종 사건처럼 보이지만, 뒤집힌 세계의 존재와 초능력 실험이 차츰 드러나며 긴장감이 고조됩니다. 8편이라는 짧은 구성에도 불구하고 이야기의 흐름이 촘촘하고 강렬합니다.

 

일부 인물의 서사가 간략하게 처리되어, 중심 캐릭터 외에는 비중이 떨어지는 감이 있고 초자연적 요소에 대한 설명이 다소 불완전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시즌을 거듭해야 전체 세계관이 이해되는 구조입니다. '기묘한 이야기 시즌 1'은 단순한 괴물 이야기나 어린이 모험극을 넘어, 인간관계와 상실, 용기, 진실에 대한 집요한 탐구를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강한 몰입감과 매력적인 세계관으로 시작부터 시청자를 사로잡으며, 이후 시즌을 기대하게 만드는 훌륭한 오프닝 챕터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