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안나 카레니나(Tolstoy's Anna Karenina, 1954), 드라마, 고전 멜로

by 모락모~락 2025. 4. 20.
반응형

1. 줄거리

안나 카레니나는 고위 관료인 알렉세이 카레닌의 아내로 아들과 함께 안정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어느 날 오빠 스테판의 혼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스크바로 가면서 안나는 귀족 청년 브론스키 백작을 만나게 됩니다. 브론스키는 안나에게 첫눈에 반하고 적극적으로 구애합니다. 처음에는 거절하던 안나도 점차 그에게 마음을 열게 됩니다. 안나는 브론스키와의 정사를 시작하며 남편과 사회의 규범을 어깁니다. 그녀는 브론스키의 아이를 임신하게 되고 결국 남편 카레닌에게 사실을 고백합니다. 카레닌은 체면과 명예를 중시해 이혼을 거부하며 안나와의 관계를 유지하려 합니다. 하지만 안나는 점차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그녀의 심리 상태는 불안정해집니다. 사교계에서도 배척당하고 친권도 박탈당한 채 브론스키와 유럽으로 도피하게 됩니다. 브론스키는 안나를 사랑하지만 그녀의 집착과 불안정한 감정에 지칩니다.안나는 브론스키가 자신을 떠날까 봐 두려워하고 극심한 질투심과 불신에 시달립니다. 결국 그녀는 모든 관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절망 속에 빠져듭니다. 감정적으로 몰락한 안나는 브론스키가 자신을 떠났다고 확신하고 절망 속에서 처음 브론스키와 만난 기차길에서 달리는 열차에 몸을 던진다. 그녀의 죽음은 당대 러시아 상류사회의 위선과 여성의 억압된 위치를 보여주는 상징으로 남습니다.

2. 시대적 배경

안나 카레니나의 배경은 19세기 후반 제정 러시아, 즉 톨스토이가 살았던 시대의 귀족 사회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계급이 엄격한 귀족 사회로 상류층이 사회를 지배하고 있었고 그들은 유럽식 문화를 동경하며 화려한 삶을 살았습니다. 농노 해방(1861) 이후였지만 사회는 여전히 불평등했고 귀족과 하층민의 간극은 컸습니다. 남녀평등이나 이혼, 개인의 자유 같은 개념은 굉장히 제한적이었고 특히 여성은 결혼으로 사회적 지위를 유지해야만 했으며 불륜이나 이혼은 여성을 철저히 고립시켰습니다. 가부장제와 여성의 억압이 강해 여성은 결혼과 모성을 통해서만 정당한 사회적 지위를 얻을 수 있었고 자유로운 연애나 자기결정권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안나는 이런 시대 속에서 사랑을 위해 모든 것을 버린 여성이었기 때문에 당대에는 '도덕적 타락'의 상징이자 동시에 억압받는 여성의 자화상이었습니다. 서구화된 상류사회 vs 러시아 전통이 공존하며 귀족 사회는 프랑스어를 일상 언어처럼 사용하고 유럽식 예절과 사치스러운 생활을 추구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공허함, 위선, 체면치레가 있었고 이것이 안나와 같은 인물의 내면적 갈등으로 이어졌습니다. 소설과 영화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기차는 시대적 변화와 비극의 상징입니다. 철도는 당시 근대화의 상징이었고 사람들이 점점 더 빠르게 움직이며 전통적인 가치가 무너지고 있었습니다. 안나의 죽음도 기차로 상징되는 시대의 압력과 개인의 파멸을 나타냅니다. 톨스토이는 당시 러시아 상류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담아 사랑과 도덕, 개인과 사회의 충돌을 입체적으로 그렸습니다.

 

3. 총평

 

 

클래식한 멜로 드라마의 정수로 1954년판 '안나 카레니나'는 비비안 리의 매혹적인 연기와 고전적인 연출로 당대 유럽 영화 특유의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물씬 풍깁니다. 원작의 방대한 줄거리를 2시간 이내로 잘 요약하면서도 안나의 심리와 감정선에 집중한 것이 강점입니다. 비비안 리는 아름다움과 불안정함, 열정과 절망을 동시에 표현해내며 인생 연기를 펼쳤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브론스키와 카레닌도 각자의 방식으로 안나와 갈등하며 세 인물 간의 심리적 삼각관계가 극의 중심을 이룹니다. 하지만 일부 평론가는 브론스키의 입체성이 다소 약하게 그려졌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 영화는 19세기 러시아 귀족 사회의 도덕, 체면, 여성의 억압 등을 잘 드러내고  동시에 1950년대 제작된 영화답게 일부 당대의 보수적 시각이 남아 있어 현대적인 시각으로 보면 아쉬움도 존재합니다.철도, 무도회, 궁정 같은 시각적 요소들은 화려하고 상징적이며 안나의 감정선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원작 톨스토이의 소설은 깊은 철학과 사유, 다양한 사회적 층위를 포함하지만 영화는 이를 감정 중심의 비극적인 멜로로 재구성했습니다. 소설의 주된 주제 중 하나인 레빈의 농촌 생활과 철학적 탐구는 거의 생략되었지만 덕분에 이야기 흐름은 더 단순하고 집중됩니다.원작 소설과는 세부적인 설정에서 차이가 있지만 1954년 영화는 비비안 리의 강렬한 연기와 감성적인 연출로 안나의 비극을 잘 담아낸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반응형